디지털 보안 컨설턴트와 함께,
맞춤 서비스와 견적을 알아보세요
중소기업 맞춤형 정보보안
사이버가드 온라인 바로가기
실시간 카카오 상담으로
쉽고 빠르게 안내받으세요

페이지에서 나갈까요?

지금 나가면 작성중인 내용은 저장되지 않아요

본인 인증을 완료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본인인증하면 받을 수 있는 할인이 있어요
그래도 페이지를 나갈까요?
SKT 통신사 할인
  •  · 결합 기준일 기준 M+2개월차 100%(월정료 할인), 13개월차 50%할인, 25개월차 50%할인(월10만원 이내)

SK쉴더스,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연구 보고서 발간

SK쉴더스,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연구 보고서 발간

- SK쉴더스, 일렉트론 기초이론, 취약점 분석, 버그바운티 사례 등 담은 연구 보고서 공개

- 5가지 주요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공격 기법 소개하며 주의 당부… 실제 취약점도 예시로

- CVE 취약점 및 버그바운티 사례 설명… “SK쉴더스, 앞으로도 정보 공유 ESG 활동 지속할 것”

SK쉴더스(www.skshieldus.com, 대표 홍원표)의 EQST가 일렉트론(Electron)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SK쉴더스의 EQST(Experts, Qualified Security Team, 이큐스트)는 랜섬웨어를 비롯해 모의해킹, 웹 모바일 보안 취약점, 공격패턴 등 침해 위협을 분석, 연구하며 지능형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화이트해커그룹이며, 이번 보고서에서 일렉트론의 기초이론과 취약점 분석, 버그바운티* 사례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올해 SK쉴더스 EQST에서는 10여 건의 제로데이*(zero-day) 취약점을 제보한 바 있다.

*버그바운티(Bug Bounty): 공격자 관점의 선제적 보안 방법 중 하나로 시스템이나 서버에서 취약점을 찾아 수정해 결함을 보완하는 제도.
*제로데이(zero-day) :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후 보안 패치가 이뤄지기 전에 악용되는 공격 기법

일렉트론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도구다.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은 웹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윈도우, 맥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사용된다. 스카이프(Skype), 노션(Notion), 워드프레스(Wordpress), 슬랙(Slack), 디스코드(Discord) 등 잘 알려진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도 일렉트론으로 제작됐다.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은 기본적인 웹 해킹 공격에 비해 단순 취약점이 RCE(원격명령실행)*까지 연결될 가능성이 커 위험성이 높다. 특히, 취약한 버전의 일렉트론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배포, 사용되고 있어 보안 위협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RCE(원격명령실행): 해커가 보안 취약점을 악용해 원격으로 사용자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접속해 악성코드를 실행하는 공격.

이에 SK쉴더스는 보안 설정 미흡과 Chrome 원격 디버깅* 악용 등 총 5가지의 주요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공격 기법을 소개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기존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견된 실제 취약점도 예시로 들어 익스플로잇* 기법을 단계별로 설명했다.

*디버깅(Debugging):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단계 중 발생하는 시스템의 오류나 비정상적인 연산(버그)을 찾아내고 수정하는 작업 과정.

*익스플로잇(Exploit):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의 취약점을 악용해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하거나 권한을 획득하는 행위.

또한 △대상 선정 및 정보 수집 △보안 옵션 확인 △버전 업데이트 여부 확인 △익스플로잇의 흐름으로 진행되는 버그바운티를 소개했다. 이후, SK쉴더스에서 발견한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CVE취약점과 버그바운티 사례를 설명했다.

SK쉴더스는 빠르게 변화하는 IT 신기술에 대응해 △클라우드 △IoT 등 폭넓은 분야의 정보보안 가이드를 외부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연구 보고서 외에도 AI 거대언어모델(LLM) 가이드를 연내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SK쉴더스 김병무 정보보안사업부장(부사장)은 “SK쉴더스는 지속적으로 전문 보고서 발간을 통해 정보보안 지식 공유와 취약점 개선에 앞장서는 ESG 활동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보안에 취약한 중소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겠다 ”고 밝혔다.

전문상담 예약
전화상담 연결
1800-6400
전문상담 예약
신청하기
전화상담 연결
1833-6400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연락처를 입력해주세요.

상담 시간을 선택해주세요.

문의가 완료되었어요.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구독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불편∙제안사항글 올리기 완료되었습니다